오늘은 제주 4.3 사건이 발생한 지 72주년 되는 날이다.
제주 4. 3 사건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에 발생한 소요사태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출처: 두산백과)
당시 제주도 인구가 약 28만명이었는데 희생자가 2만 5천에서 3만명이었다고 하니 열 명중 한 명이 목숨을 잃은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일하다가 모니터 시계를 보니 10시가 조금 넘었길래 잠시 눈을 감고 마음으로 추념을 했다.
대학 2학년 때쯤 현기영의 소설집 <순이삼촌>을 처음 읽었던 것 같다. 제주 4. 3 사건을 다룬 이 책을 읽는데 너무 사실적이라 놀랐다. 진실을 폭로하는 소설이었다. 잔혹한 무력행위에 소스라치고, 가슴 아픈 역사에 마음 한켠이 아렸다.
2013년 2월. 와이프 직장 지인들과 가족까지 9명이 모여 '제주 4. 3 기행'을 다녀왔다. 책과 역사와 답사를 좋아하는 분들의 모임에 나는 같이 동행하게 되었다. 답사기행을 위해 해설사까지 미리 섭외되어 있었다. 현지에서 만난 해설사분은 제주도에 있는 여중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선생님이셨다. 게다가 청소년적십자(RCY) 지도교사로도 활동하고 계신 분이기도 하셨다.
우리는 해설사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제주 4. 3 평화기념관, 평화공원, 목시물굴, 낙선동 성터, 북촌리와 북촌초등학교, 애기무덤 순으로 답사하였다.
4. 3 평화기념관에서는 4. 3의 역사를 듣고, 당시 사건을 기념하는 작품들을 보았다. 평화공원에서는 희생자들의 이름이 빼곡히 적힌 희생자비와 아이를 끌어안은 채 죽은 어머니를 형상화한 작품을 볼 수 있었다. 목시물굴은 토벌대를 피해 마을주민 2백여명이 숨어 지냈던 동굴이었다. 해설사 선생님이 토벌대가 주민들 나오라고 총을 쏘고 수류탄을 던졌다는 설명을 하시다가 감정이 격해 지셨는지 눈물 지으셔서 우리는 숙연해졌다.
낙선동 성터에서는 한 할아버지가 우리를 보고 다가오셨다. 할아버지는 4. 3 사건때 열일곱살이었다고 하시면서 그때 상황을 들려주시기도 했다. 다음으로 찾은 소설 <순이삼촌>의 무대가 된 북촌리에서는 너븐숭이 기념관을 찾았고, 죽은 엄마의 젖을 빠는 아이 모습을 그린 강요백 화백의 작품 '젖먹이'를 보니 참담한 마음이 들었다. 관광지로 익숙한 제주도가 이렇게 아픈 역사를 가진 섬이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답사를 하는 동안 한 가지 생각이 계속 맴돌았다. '왜 이들은 국제인도법의 보호를 받지 못했을까?' 내가 다니는 대한적십자사에서 국제인도법 보급을 하고 있기 때문에 드는 생각이었다.
국제인도법(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은 무력충돌시 전투능력을 상실하였거나 적대행위에 가담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하여 국적, 인종, 종교, 계급정치적 견해등에 어떠한 차별없이 그들이 생명을 보호하고 존엄성을 보장하기 만들어진 법이다.
이탈리아 솔페리노 전투에서 전쟁의 참상을 목격한 적십자의 아버지 장 앙리뒤낭의 제안에서 국제인도법은 시작되었는데, 분명 1949년 민간인 보호에 관한 제네바협약이 추가돼 민간인이 보호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1954년까지 민간인 희생이 계속 이어졌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다. 국제인도법의 위반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희생은 컸고, 아픔은 깊이 베인 상처처럼 남아 있다.
앞으로 이런 비극이 반복되어선 안 될 것이다. 어떤 이유라도 더이상 민간인에 대한 무력이 용인되어선 안 된다. 평화야 말로 우리가 추구하는 대명제이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고통은 그 어떤 아픔보다 크고 오래간다는 것을 잊어선 안 될 것이다.
'Red Cross (적십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벨상과 적십자 - 적십자는 어떻게 노벨평화상 최다 수상 기록을 갖게 되었나? (0) | 2021.10.14 |
---|---|
폭풍질문 (0) | 2020.05.25 |
좋아하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0) | 2020.04.12 |
이동세탁차량은 오늘도 달린다 (0) | 2020.03.22 |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봉사 (0) | 2020.03.22 |